본문 바로가기
카테고리 없음

반도체 8대 공정 간단히 알아보기 part5 @ CVD, PVD

by 송송23 2023. 7. 16.
반응형

안녕하세요, 송송입니다. 저번 시간엔 증착 공정에 대해 간단히 알아보았는데요, 증착하는 방법에 따라 CVD, PVD로 나뉜다고 말씀드렸었죠? 이번 시간에는 CVD와 PVD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

 그럼 바로 시작하시죠.

 

1. CVD(Chemical Vapor Deposition) : 화학적 기상 증착법

 - 반응기 안에서 화학 증착 반응 기체들을 주입하여 화학 반응에 의해 생성된 고체 화합물을 증착시키는 방법
*말이 어렵죠. 간단히 가볼게요. 반응기=챔버 챔버 안에 우리가 증착하고자 하는 물질을 생성할 수 있는 반응성 가스를 주입하여 얘네들이 화학 반을 후 막을 형성시키는 방법입니다.

 - CVD에서 내가 원하는 막을 증착시키기 위해서는 어떤 반응성 가스를 사용해야할지 잘 알아놔야겠죠?

CVD 메커니즘

▶ CVD 기본적 순서를 알아보겠습니다.

 1) 화학 반응의 전구체(Precursor)를 확산시킵니다.
* 전구체가 뭔데? - 어떤 화학 반응을 통해 A라는 물질을 만들 때, 최종 물질인 A가 되기 바로 이전 단계의 물질
  한마디로, 내가 원하는 물질이 있는데 그걸 바로 넣을 수 없잖아요! 그러니 그 물질을 만들기 위한 어떤 반응 물질이라고 생각하시면 됩니다. 각 형성하는 물질마다 사용되는 전구체가 있습니다!

 2) 전구체 기판 표면에 흡착
 3) 표면에서 화학반응(원하는 물질 형성), 화학 반응이 일어난 물질은 표면에서 확산되면서 퍼지게 됨
 4) 반응의 부산물들 탈착
 5) 반응의 부산물들 밖으로 내보냄

* 화학 반응을 통해 우리가 만들고자하는 막을 증착시키게 되는데, 적절한 퍼지를 통해서 반응 후 부산물들이나, 불순물들을 내보내줍니다.

 

CVD의 증착 속도는 온도에 따라 다르게 나타나게 됩니다.

- 높은 온도 영역의 경우에는 확산(Diffusion)에 의존하게 됩니다.
 즉, 온도 ↑, 화학 반응 속도 ↑
- 낮은 온도 - 반응(Reaction)에 의존하게 됩니다.

  기체 확산 속도가 일정하기 때문에 가스가 지나가며 실리콘(기판)에 닿는 부분에서 발생하는 반응성이 증착 속도에 영향을 미치게 됩니다.

온도에 따른 CVD 증착 속도

▶ 장점 
 1) 증착되는 박막의 순도가 높다.
 2) 화학적 결합으로 인해 PVD보다 결합력이 강하다.
 3) 대량 생산 가능하다 → 한 배치에 많이 넣으면 되니까!, 그러나 이 경우에는 각 배치 구간마다 균일성이 안좋을 수도 있어요. 이건 로딩 이펙트라는 현상 때문인데, 이 현상과 비슷한 경우는 이전 글에 나와 있습니다.

2023.07.02 - [분류 전체보기] - 반도체 공정 간단히 알아보기 part.2 @ 산화 공정(2/2)

 

반도체 공정 간단히 알아보기 part.2 @ 산화 공정(2/2)

네, 송송입니다. 저번 포스팅에서 실리콘 산화에 대해 간단히 알아봤습니다. 이번엔 예고 대로 열산화(Thermal oxidation)법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 1. Thermal oxidation - 노(로) Furnance를 이용하여 고온(9

ssongsong23.tistory.com

 4) 복잡한 형태 위 균일한 코팅 가능 → 아무리 형태가 이상해도 어차피 화학반응에 의한 증착이므로 붙겠죠?

 5) 여러 가지 종류의 원소 및 화합물 증착 가능 → 증착하고자하는 물질의 전구체를 적절하게 활용하면 가능합니다.

 6) PVD보다 우수한 Step coverage를 갖는다.
 7) 플라즈마를 사용한 PECVD(Plasma Enhanced Chemical Vapor Deposition)의 경우 저온 공정도 가능하다.

 

▶ 단점
 1) Coating 반응에 대한 기판 안정도를 고려해야한다. 
* 무슨말이냐.. 예를 들어볼게요. 내가 우리집 마우스에 어떤 물질을 증착시키고 싶은데.. 우리집 마우스는 맨들맨들 플라스틱이라 원하는 물질이 잘 안달라붙을 수도 있는거죠. (물론 실제로 안붙는다 붙는다는건 모릅니다 .예시니까 넘어가자구요)
제 말은, 증착하고자 하는 물질을 찾아도 그 물질이 기판과의 상호작용이 되지 않을 수 있다는 겁니다. 막이 형성되지만, 바로 박리가 될 수 있는것이죠 또는 아예 반응을 안하거나.

그렇기 때문에 CVD 공정을 진행 할때는 기판과의 안정성도 충분히 고려해봐야하는 상황입니다.

 2) 기판과의 증착 재료 간 열팽창계수 차이를 고려해야함
*열팽창계수는 온도가 올라감에따라 팽창하는 정도를 나타내는 수치입니다. 얘가 높으면 어떨까요? 더 많이 팽창하게 되겠죠? 그런데 이 수치가 서로 너무 다르다면 두 물질간의 팽창 정도가 달라서 박리현상이 일어나게 되겠죠.

 3) 위험한 가스의 사용
 * 가스하면 일반적으로 위험한거 같죠? 네 거의 80%는 맞습니다. 물론 우리에게 위험하지 않은 가스들도 있지만, 주로 반도체 공정에서 사용하는 반응성 가스들은 Toxic한 가스들이 많이 있습니다. 예를들면 F(플루오린), Cl(염소) 매우 독한 가스이기 때문에 항상 주의해서 Leak가 있는지 잘 체크하고 사용하셔야합니다.
 4) 장치가 복잡함
 *이런 장비들은 보통 여러 STEP으로 나눠져 있기 때문에, 조작이 복잡할 수 있습니다. 그렇기 떄문에 조작 방법을 잘 숙지하여 사용해야합니다. 고가의 장비들의 경우.. 잘못하면 OUT!!

 

▶ CVD 구조

CVD 구조

▶ CVD 종류
 - Themal CVD, LPCVD, PECVD 등 있습니다. 대표적인 3가지만 말씀드리도록 할게요.

 1) Thermal CVD : Hot wall 방식과 Cold wall 방식으로 나뉩니다.

 - 뭐 해석 그래도 챔버 벽이 Hot이냐 Cold이냐 차이입니다.
   * Hot wall : 챔버 전체를 가열하여 한번에 여러 기판 증착이 가능하다. 그러나, 챔버 벽에서도 증착이 발생하기 때문에 이로 인해 오염 가능성이 높다. 
   * Cold wall : 챔버 전체를 가열하는 방식이 아닌, 코일에 의한 기판만 가열하는 방식. 챔버 벽에 증착이 되지 않기 때문에 오염 가능성이 Hot wall 방식보다 적겠죠?

 

 2) LPCVD(Low Pressure CVD) : 저기압 CVD. 압력이 내려감에 따라 평균자유행로가 증가하여 확산이 더 많이 일어나게 됩니다. 약 500 ~ 800℃ 반도체 박막의 경우, IC내 트랜지스터의 게이트 층으로 사용되는 다결정 실리콘이 LPCVD법에 의해 증착되고 있습니다.

3)  PECVD(Plasma Enhanced CVD) : 최상층에 금속 배선 위를 덮는 보호막인 Si3N4 박막과 금속 배선층간 절연막인 SiO2 박막 등은 PECVD 방식에 의해 증착되고 있습니다. 원리는 CCP와 비슷한 맥락입니다.

PEVCD

 - 원료 기체들을 플라즈마 상태로 만들어 박막 형성하는 방식으로, 저진공 조건에서 증착되고 있습니다.

 - 고온 공정에 경우는 웨이퍼 위 Al 도건이나 유리 기판이 높기 때문에 제약이 있습니다. (저온 공정 필요로 함 약 400 ℃)
 - 특히, OLED의 경우 수분이나 산소에 취약하기 때문에 소자와 산소와의 접촉을 막아주는 PECVD 공정 방식이 사용되고 있습니다.

 

-----------------------------------------------------------------------------------------------------------------------------------------------------------------

설명하다보니.. CVD만 해도 꽉 차버렸네요. 그럼 한 템포 쉬고 다음 포스팅에서 PVD를 마저 설명해보도록 하겠습니다. 
PVD의 경우는 제가 식각 공정에서 설명했던 Sputtering 방식과 같기 때문에 어렵지는 않을겁니다.

다들 화이팅하세요!

반응형